2025년 기초연금 수급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들을 정리했습니다. 특히 소득인정액 기준, 금융재산, 근로소득 등이 기초연금 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자세히 알아보고, 놓치기 쉬운 부분들을 꼼꼼히 체크하여 기초연금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.

 

 

1. 2025년 기초연금 수급 자격 및 기준

 
* 신청 대상: 만 65세가 되는 1960년생부터 신규 신청 가능해요.
* 신청 시기: 생일 전달부터 신청 가능하며, 늦어도 생일이 되는 달에는 신청해야 손해를 보지 않아요.
* 소득인정액 기준:
* 단독 가구: 229만 원 이하
* 부부 가구: 367만 원 이하
* 수급액:
* 단독 가구: 월 최대 34만 3,510원
* 부부 가구: 월 최대 54만 9,600원
* 지급일: 매월 25일 (연휴나 주말인 경우 그 전날 지급)

 

 

 

2.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

 
기초연금 수급 자격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인 소득인정액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* 소득평가액: 근로소득, 연금소득, 사업소득 등을 합산한 금액이에요.
* 재산의 소득환산액: 일반재산, 금융재산 등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이에요.

 

 

3. 금융재산과 기초연금 수급

 
금융재산이 기초연금 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.
* 계산식: (금융재산 - 2천만 원) X 4% ÷ 12개월
* 이자소득: (연간 이자금액 ÷ 12개월) - 4만 원
* 예시: 금융재산이 1억 원인 경우, 소득인정액은 약 55만 3천 원이 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 

4. 소득 종류별 영향

 

소득 종류 기초연금 영향 계산 방법
근로소득 유리 2025년에는 111만 2,000원을 먼저 공제한 후, 나머지 금액에서 30% 추가 공제
국민연금 감액 요인 받는 금액에 따라 기초연금 감액 (51만 3,770원 이상 시)
자녀 용돈 영향 없음 기초연금 계산에 반영되지 않음

 

 

 

5. 추가적으로 알아두면 좋은 정보들

 
* 고급 재산: 4천만 원 이상의 고급 자동차나 고급 회원권은 기초연금 탈락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.
* 기초연금 40만 원: 2026년부터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 대상자부터 지급될 예정이며, 2027년부터는 모든 기초연금 수급 대상자에게 적용될 계획이에요.
* 수급 희망 이력 관리: 기초연금 탈락 시, 수급 희망 이력 관리 신청을 통해 재신청 안내를 받을 수 있어요.

 

 

6. 국민연금 연계 감액 제도

 
국민연금 수령액이 일정 금액 이상일 경우 기초연금이 감액될 수 있어요.
* 감액 기준: 기초연금액의 150% (51만 3,776원) 이상 국민연금을 받으면 감액될 수 있어요.
* 최대 감액: 기초연금의 50% (17만 2,600원)까지 감액될 수 있어요.

 

 

 

 

7. 결론

기초연금은 노후 생활에 중요한 자금원이 될 수 있으므로, 꼼꼼히 확인하고 준비하여 최대한 많은 혜택을 받는 것이 중요해요. 자신의 소득과 재산을 정확히 파악하고, 관련 기관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얻는 것이 필요합니다.
* 보건복지부 콜센터: 129
* 국민연금공단 콜센터: 1355